-
온라인 간편예약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상담·예약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진료예약 서비스는 신청 후 병원에서 확인 전화를 드린 후로 예약이 확정되는 서비스입니다. 휴무일 또는 업무시간 외 신청하는 예약 건은 정상업무일 오후부터 순차적으로 확인전화를 드립니다.
* 주의 ) 확인 전화가 가지 않으면 예약이
확정되지 않는 상태이니 문의 주시길 바랍니다.
25-01-03
182
고관절에서 소리가 나는 것을 주 이유로 고민하는 환자들이 있다.
주요 증상은 앉았다 일어나는 동작처럼 고관절을 사용할 때 '툭툭' 또는
'뚝뚝' 소리가 나거나 골반에 손을 대면 무엇인가 튕겨지는 듯한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통증과 같은 불편한 증상을 동반하기도 하고, 단순히 소리가 나기만 하는데 걱정이 된다는 사람들이 있다.
이와 같은 소리는 흔히들 뼈 소리로 착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엉덩이
주변 힘줄이 다른 근육이나 뼈와 마찰하며 나는 소리(탄발음)이며,
이 경우 발음성 고관절 증후군 (Snapping Hip Syndrome)을 의심해볼 수 있다.
압구정 두발로병원 임현우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발음성 고관절 증후군(Snapping Hip Syndrome)은
엉덩이 주변 힘줄과 근육이 뼈나 다른 힘줄과 마찰하면서 발생하는 증상이다.
고관절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발레리나나 댄서에게 흔히 나타나 댄서힙(Dancer's Hip)이라고도 불린다.
반복적인 동작으로 인해 근육과 힘줄이 비대해지며 마찰이 증가하여 발생할 수도 있고,
선천적으로 고관절 부위의 뼈가 튀어나온 경우에도 힘줄과 근육이 마찰하기 쉬워 이러한 질환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발음성 고관절 증후군은 외측형과 내측형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엉덩이랑 허벅지 쪽이
연결되는 바깥쪽에 생기는 외측형의 경우 고관절을 구부리고 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경인대가 고관절 대퇴골의 대전자라고 하는 툭 튀어나온 부분과 마찰하여 소리를 낸다.
내측형은 사타구니 안쪽에 위치한 고관절의 굴곡 및 안정성을 담당하는 주요 근육인
장요근이 대퇴골의 골두 위를 지나가며 소리가 난다. 대부분 일시적인 증상으로
자연스럽게 호전되지만, 충분히 휴식했음에도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악화할 경우 병원에서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임현우 원장은 "대부분 일시적인 증상으로 자연스럽게 호전되므로, 초기에는
스트레칭과 마사지로 근육을 이완시키고 마찰을 줄이는 것이 좋다. 하지만 충분히
휴식을 취했음에도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병원에서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신체검진과 엑스레이 촬영으로 뼈 이상을 확인하고,
필요시 초음파로 근육과 힘줄을 검사하여 증상의 원인을 확인하게 된다.
대개 구조적인 큰 이상이 없다고 판단이 되면 초기 치료로 진통제와
근이완제를 사용해 염증을 줄이고 긴장을 완화시켜준다"고 전했다.
기사원본 보러가기